life

태극기(太極旗/Flag of Republic Of Korea) 의 진정한 의미

by 우엘라 2022. 12. 10.
반응형

각 가정에 보관되어 국경일이나 기념일에 국기를 게양하는 우리나라의 얼굴이자 상징인 태극기의 의미를 세계적인 행사나 축제에서 보았을 때 가슴이 뭉클해지고 눈물이 벅차오르고,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는 일을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태극기의 진정한 의미를 쉽게 이해하고 가슴에 심어 드리겠습니다.

태극기 유래

흰색 중앙에 파란색과 빨간색의 태극을, 네 귀퉁이에는 팔괘 중 상하가 대칭되는 사괘인 건(乾), 곤(坤), 감(坎), 리(離)를 그렸다. 이는 곧 음양 화합을 상징한다. 1882년(고종 19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1883년 3월 6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안되어 고종에 의해 공포되었다.

1, 4괘 → 건, 곤, 감, 리

건☞봄/동쪽/하늘을 뜻하고, 곤☞여름/서쪽/땅을 뜻하며, 감☞겨울/북쪽/물을, 이☞가을/남쪽/불을 뜻한다. 이는 곧 동서남북 4개의 방향, 봄 여름 가을 겨울 4개의 계절, 하늘땅 물 불 등 대자연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건곤감리에는 자연과 더불어 살겠다는 한민족의 정신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태극

빨간색은 양을 상징하는 해를 표현합니다. (햇볕, 양지, 불, 따뜻함을 상징합니다.) 파란색은 음을 상징하는 달을 표현합니다, (물, 그늘, 차가움을 상징합니다.) 즉, 우주만물이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3. 흰 바탕

밝음,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상징합니다. 순일무잡한 한민족의 동질성과 결백성을 상징한 것이며, 평화를 애호하는 정신이 우리 민족의 기질과 이상임을 드러내 보인 것이라 하겠습니다.

4. 국기 게양하는 날

3월 1일 : 삼일절 , 6월 6일 : 현충일 (조기 게양) , 7월 17일 : 제헌절, 8월 15일 : 광복절, 10월 1일 : 국군의 날, 10월 3일 : 개천절, 10월 9일 : 한글날, 국가장(國家葬) 기간(조기 게양), 정부가 따로 지정하는 날, 지방자치 단체가 조례 또는 지방 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날(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한함).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의 청사, 학교, 공항·호텔 등의 국제적인 교류 장소 등에는 연중 국기 게양.

태극기 휘날리며♬♪

우리 국민들의 손에, 어깨에, 머리에, 가슴에 한 마음 한 뜻으로 소용돌이치게 하는 것이 스포츠인 것 같다. 아시안 게임도 그렇고 올림픽, 월드컵이 개최되면 너 나할 것 없이 깊숙이 보관해 온 태극기를 꺼내 들고 집안에서, 길거리에서, 광장에서 자랑스럽게 흔들어 댄다.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태극기가 장롱 속이 아닌 밖으로 표출되는 시간이 점점 많아졌으면 좋겠다.

  • 현재글태극기(太極旗/Flag of Republic Of Korea) 의 진정한 의미

댓글